“자기이해와 접촉의 힘”
인간의 내면과 타인과의 관계를 회복하는 상담 접근들
– 인간중심 / 게슈탈트 / 교류분석
1. 인간중심 상담 (Carl Rogers)
인간관
- 인간은 신뢰할 수 있는 유기체로서, 실현화 경향성을 가지고 성장한다.
- 자아와 유기체 간의 불일치가 심리적 문제의 핵심이다.
주요개념
- 실현화 경향성: 모든 유기체가 성장, 완성, 자율을 향해 나아가는 내적 동기.
- 가치 조건화: 사랑받기 위한 조건을 내면화하면서 자기를 왜곡하게 됨.
- 자기개념: 개인이 자신에 대해 인식하고 있는 평가체계.
- 경험: 자아와 불일치한 경험은 왜곡되거나 부정됨.
상담자의 3대 핵심태도
① 진실성(일치성): 상담자가 자신에게 진실한 태도를 보임
②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
③ 공감적 이해: 내담자의 내면을 그의 관점에서 이해하려 노력
상담목표
- 자아와 경험 간의 일치를 이루고, 내담자가 자신의 감정과 욕구에 대해 자유롭게 표현하며 자기실현을 향해 나아가도록 한다.
2. 게슈탈트 치료 (Fritz Perls)
인간관
- 인간은 전체로서의 존재이며, 자각과 선택을 통해 성장한다.
- 과거의 미해결 과제는 현재의 감정과 행동을 방해함.
주요개념
- 접촉과 자각: 환경과 자신을 자각하며 의미 있는 접촉을 통해 성장함.
- 지금-여기: 현재에 집중하며 과거의 문제를 현재로 가져와 해결
- 책임감: 내담자가 자신의 감정과 행동에 책임지도록 함.
- 신경증 층 구조:
- 허위층 (피상적 행동)
- 공포층 (진짜 감정 회피)
- 난국층 (내면 갈등 직면)
- 내적파열층 (방어 해체)
- 폭발층 (자유, 해방)
접촉경계 혼란 유형
- 내사, 투사, 반전, 융합, 편향
상담기법
- 빈 의자 기법, 언어 바꾸기(‘나는’ 진술), 과장하기, 반복하기 등
- 감정과 신체 감각에 집중하여 미해결 과제 해결
상담목표
- 자각을 통해 내담자가 자기 자신을 온전히 수용하고 성장하도록 돕는 것
3. 교류분석 (Eric Berne)
인간관
- 인간은 변할 수 있으며, 자신의 삶을 의식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 삶의 각본을 다시 쓰는 것이 가능하다.
주요개념
- 자아상태(PAC)
- 부모자아(비판적·양육적)
- 성인자아(논리적, 현실적 판단)
- 아동자아(자연적·순응적 감정)
- 교류 유형
- 보완적 교류 (의사소통 원활)
- 교차적 교류 (오해 발생)
- 저의적 교류 (게임 포함)
- 심리 게임: 무의식적인 패턴의 반복된 상호작용으로 갈등 유발
- 삶의 각본: 무의식적으로 선택된 인생의 방향
- 스트로크: 인정 욕구 충족의 단위
- 삶의 입장:
- I’m OK – You’re OK (건강한 상태)
- I’m OK – You’re not OK
- I’m not OK – You’re OK
- I’m not OK – You’re not OK
상담목표
- 내담자가 자신의 자아상태를 인식하고, 성인자아를 활용해 심리 게임을 끝내며 자신의 인생 각본을 재구성하도록 돕는다.
'상담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담심리] 행동수정#1 (1) | 2025.07.31 |
---|---|
상담심리 #3 (0) | 2025.07.24 |
상담심리 #1 (2) | 2025.07.22 |
[상담심리] 이상심리학#8 (3) | 2025.07.21 |
[상담심리] 이상심리학#7 (9) | 2025.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