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04 그래픽 스타일의 활용]
1. 컬러와 스타일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현하는 작업에서 일관성있는 색상적용을 위한 작업
HEX값: RGB와 투명도00%
설정한 도형을 다음에도 사용하기 위해 스타일 저장하는 방법: Fill 오른쪽에 점4개클릭/Stroke 오른쪽 점4개클릭 -> +클릭->style에서 색상 이름적고 creat style 클릭하면 등록됨(Description은 어떤 용도로 사용할지 적는건데 생략가능)
color style-> 컬러이름 오른쪽 edit 혹은 컬러이름 클릭->Properties에서 색상 변경가능(설정되어 있는 도형들의 색이 한번에 모두 바뀜)
컬러 이름 오른쪽에 Detach style누르면 설정해제되고 자유롭게 설정가능
Material 디자인2에서 프라이머리단계와 세컨더리단계의 툴을 제공 하고 있음
color palettes에서 원하는 색상의 단계들을 볼 수 있음
컬러색상이름을 ex) primary/500 로 작성하면 Primary폴더에서 색상500으로 저장됨.
색상단계만들기: 도형그리고 색상지정-> 왼쪽상단에서 손바닥툴 왼쪽꺼 클릭-> plugin에서 tail wind검색해서 'tailwind color generator'플러그인 생겨남-> 기존색상적고 check눌러 있는지확인->create->오른쪽 레이어바에서 색상단계생성된거 확인할 수 있음
2.스타일과 토큰
개발자와 핸드오프과정을 거치기위해 많이 사용함
토큰: 색상의 코딩 생성
도형그리고 색상 넣은 후 색상단계 만들기-> plugin에서 Tokens studio 실행
토큰에서는 이름첫글자 대문자 작성
3.타이포그래피
텍스트툴: 1)클릭하기 2)드래그하기(텍스트박스 크기지정됨)
글자사이즈는 특정한 배수를 주는 것이 좋음
토큰->sizing, font family, font weight, line height, font size, 타이포그라피에서 설정
피그마에서 제공하지 않는 글자사이즈를 일정하게 활용할 수 있음
Typescale.com 에서 글자사이즈 확인할 수 있음.
기본 body 사이즈: 16
scale: 1.333배수의 크기 가장 많이 사용
4.그라디언트의 활용
도형그리기->Fill에서 색상눌러 컬러패널열기->custom아래 2번째아이콘 그라디언트 클릭해 2개이상의 색상 설정하기
5.도형과 이펙트
도형그린 후 면과 선 색상설정하기->오른쪽바에서 아래 Effects에서 그림자 설정
Effects +를 클릭해 효과 추가 가능(하나의 값이 아닌 2~3개 겹쳐진 값)
ctrl+alt+c =도형, 문자의 속성 복사
ctrl+alt+v= 도형, 문자의 속성 붙여넣기
6.이미지와 플러그인
ctrl+shift+k= 이미지불러오기
1)클릭하기 2)드래그하기(일부영역보이지 않을 수 있음) 3)shift+드래그
도형을 그리기-> 이미지불러와 도형위에서 클릭 = 도형안에 이미지 들어감
Fill->도형안 위치 옮기기, 회전, 타일형식, 밝기 등 변경 가능
무료이미지사이트: Pexels
ctrl+D=이미지 복제
2개의 동일한 이미지를 빗겨지게 배치->이미지패널->물방울모양 클릭 = 블랜드모드 설정
plugin추천: Material Design Icons, unsplash, Contant Reel, LottiFiles
도형으로 필요한 이미지의 크기를 그려두고 삽입하기
[CHAPTER 05 정렬과 레이아웃]
1.프레임과 레이어
ctrl+d =프레임 복사해 여러화명만들기
ctrl+0=중앙을 중심으로 1:1화면비율
프레임위에서 스페이스누르면 화면 옮기기
shift+1= 화면에 꽉차는크기로 1개의 프레임보임
도형을 여러개 그린 후 왼쪽바 폴더에서 좌물쇠누르면 프레임 잠김.-> 이후 도형은 프레임에 귀속되지 않게 그려짐.
오른쪽 바에서 clip contant: 프레임 밖의 모습 보이게할지 말지 체크표시하면 됨 (못찾겠다 😭😭😭)
ctrl+shift+L = 여러개의 프레임 또는 도형 잠금 설정
ctrl+shift+H= 프레임 또는 도형 안보이게 설정
2.정렬과 스마트 셀렉션
도형 그린 후 오른쪽 바 상단에서 다양한 위치 정렬 설정 가능
여러개 도형 정렬 설정
스마트셀렉션기능으로 편리하게 사용가능
수평이동시 자동 이동
상하이동은 자리차지함
도형내부의 점을 shift를 누른상태에서 연속적으로 선택한 후 높이, 크기, 간격을 변경할 수 있음
3.컨스트레인트
반응형그리드와 유사함
머트리얼디자인 가이드에서 스펙으로 제공하고있는 사이즈 체크해 도형 배치하기
뒤로가기버튼: 넓이와높이는 24, 위 아래 왼쪽 간격은 16
도형간 간격:24
하단의 푸터영역: 주소, 전화번호 등 들어감
왼쪽바의 constraints: 도형의 왼쪽, 오른쪽, 상하 중 어디를 고정시킬 것인지 설정. 프레임 이동시 함께 늘어나거나 이동함.
4.오토레이아웃
프레임에 자동으로 간격을 만들어 프레임을 콘텐츠에 동적으로 반응하도록 만들어줌
모바일 ui를 구현해내 많이 사용하는 기능
오른쪽 바에서 오토레이아웃 설정
여러개도형드래그 후 오른쪽 클릭해서 설정
단축기: shift+A ->많이 사용함
오브젝트의 프레임 안 위치 선택가능
가로정렬된 도형들을 세로 또는 사각형 등으로 재정렬할 수 있음
ctrl+shift+G=그룹해제
ctrl+R=여러게 도형 셀렉후 단축기 누르면 도형 이름 지정가능
도형클릭후 도형간 간격사이 클릭후 좌우로 움직여 간격 수정 가능 or 오른쪽바에 오토레이아웃에서 숫자 수정에 설정가능
오토는 프레임의 크기에따라 자동간격설정됨
5.레이아웃 그리드
머트리얼디자인2->아이코노그래피->시스템아이콘= 선과 간격에따라 만들어진 자료들 볼 수 있음
shift+R=테두리에 자 나타남
[CHAPTER 06 컴포넌트와 베리언트]
1.컨포넌트와 인스턴트
컨퍼넌트 등록하기: 도형에서 오른쪽클릭-> create component(ctrl+alt+k)->보라색 라인으로 바뀜
컨퍼넌트도형 복사해 생성한 인스턴스도형들도 함께 변경사항 적용되나, 개별적으로 바뀐 후로는 영향받지 않음
오른쪽바에서 클립 컨텐트 아래 점3개클릭-> 디테치 인스탠트->해제상태
프로젝트가 끝나고 컨퍼넌트 페이지 끄지 않기
2.베리언트의 활용
하나의 컨퍼넌트를 등록해 다양한 방식으로 베리에이션하여 사용하는 방식
“이 글은 제로베이스 콘텐츠 마케팅 스쿨의 강의 자료 일부를 발췌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콘텐츠마케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콘텐츠 마케팅 초단기 스쿨 스터디 노트] #4 (0) | 2025.03.22 |
---|---|
[콘텐츠 마케팅 초단기 스쿨 스터디 노트] #3 (1) | 2025.03.10 |
[콘텐츠 마케팅 초단기 스쿨 스터디 노트] #2 (0) | 2025.03.10 |
[콘텐츠 마케팅 초단기 스쿨 스터디 노트] #1 (0) | 2025.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