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담심리

[상담심리] 이상심리학#5

by 그만먹어 2025. 7. 14.

감정의 깊은 웅덩이 — 주요우울장애와 양극성장애


주요우울장애

삶의 의욕과 의미가 바닥으로 떨어지는 가장 심한 형태의 우울장애입니다.

주요 증상

  • 지속적인 우울감
  • 흥미와 즐거움의 상실
  • 일상생활이 침체되고 위축됨

원인 이론

학습된 무기력 이론

도망갈 수 있는데도 고통을 피하지 않는 개 실험에서 유래.
사람도 반복된 좌절을 겪으면 “어차피 안 될 거야”라는 무기력을 학습하여 상황을 변화시키기 위한 아무런 노력을 하지 않게 됨

하지만 ① 상황을 통제하지 못할 것이라는 '미래에 대한 부정적 기대', ②어떤  부정적 결과가 자신과 무관하게 통제불능 상황에 의해 생겨난 것이라면, 왜 사람들은 실패에 대해 자신을 책망하는가?, ③우울증상의 강도나 만성화 정도가 어떻게 결정되는가?에 대해서는 인간에게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음.
또한 인간에게 적용할때 주요 생활사건, 경미한 생활사건, 사회적 지지 결여 같은 부정적 요인들이 있으면 개인이 통제감을 느끼기 어렵고, 무력감을 학습하게 될 가능성이 커진다.

  • 주요 생활사건: 커다란 좌절감을 안겨주는 충격적인 사건들을 뜻함
    ex) 사랑하는 가족의 사망이나 심각한 질병, 자신의 심각한 질병, 가정 불화, 가족관계나 이성관계의 악화, 친구와의 심각한 갈등이나 다툼, 실직이나 사업실패, 경제적 파탄과 어려움, 현저한 업무부진이나 학습부진 등
  • 경미한 생활사건: 여러가지 사소한 부정적인 생활사건들이 오랜 기간 누적되면 우울장애가 유발될 수 있음
    ex) 친구나 가족구성원과의 사소한 다툼이나 언쟁, 적은 액수의 돈을 잃어 버림, 주변 사람들로부터 사소한 비난을 받음, 테니스나 탁구게임에서 짐, 친구가 약속시간에 안 나타남, 낯선 사람으로부터 불쾌한 일을 당함, 상점 판매원의 불친절한 행동 등
  • 사회적 지지 결여: 개인의 삶을 지탱하도록 돕는 심리적 또는 물질적 지원(친밀감, 인정과 애정, 소속감,  돌봄과 보살핌, 정보제공,  물질적 도움과  지원 등). 자존감과 안정감을 유지시켜주는 사회적 지원 원천은 배우자, 친한 친구, 가족, 동료, 교사 등으로 어려움이 닥쳤을 때 이겨낼 수 있다는 자신감을 주게 됨
    ex) 가족과 떨어져 지내는 지속적인 상태, 소속집단으로부터 소외된 상채, 친구의 부족, 도움을 요청하고 어려움을 상의할 사람의  부족, 경제적 궁핍, 생활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사람의 부족 등

양극성장애 

우울과 조증(또는 경조증)이 교차적으로 나타나는 기분장애입니다.

주요 증상

  • 우울한 기분상태와 고양된 기분상태가 교차되어 나타나는 경우
  • 자신에 대한 과대망상적 사고
  • 잠을 잘 자지 않고 활동적이나 실제로 이루어지는 일은 없음

DSM-5-TR 조증삽화의 주요한 증상들

  • 팽창된 자존심 또는 심하게 과장된 자신감
  • 수면에 대한 욕구 감소
  • 평소보다 말이 많아지거나 계속 말을 하게 됨
  • 사고의 비약 또는 사고가 연달아 일어나는 주관적인 경험
  • 주의 산만(중요하지 않거나 관계없는 외적 자극에 너무 쉽게 주의가 이끌림)
  • 목표지향적 행동이나 흥분된 운동성 활동의 증가
  • 고통스러운 결과를 초래할 쾌락적인 활동에 지나치게 몰두함(흥청망청 물건 사기, 어리석은 사업 투자 등)

제1형 양극성장애

  • 최소 1회 이상의 조증삽화
  • 과도한 자신감, 수면욕구 감소, 말이 많아짐
  • 심각한 기능손상 또는 입원 필요

제2형 양극성장애

  • 경조증 + 주요우울삽화
  • 경조증은 기분 좋고 활력 있지만 사회적 손상은 없음
  • 입원, 정신병적 증상은 없음

순환감정장애(=순환성장애)

  • 2년 이상 경미한 우울 + 경조증 반복
  • 증상 없는 기간이 2개월 미만

 

 

 

 

"이 글은 학습 및 참고용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실제 상황에 적용하기에는 전문가의 정확한 평가와 상담을 받으시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상담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담심리] 이상심리학#7  (9) 2025.07.20
[상담심리] 이상심리학#6  (0) 2025.07.16
[상담심리] 이상심리학 #4  (2) 2025.07.11
[상담심리]이상심리학 #3  (1) 2025.07.02
[상담심리] 이상심리학 #2  (2) 2025.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