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담심리

[상담심리] 이상심리학 #1

by 그만먹어 2025. 6. 24.

정신장애, 그 오랜 역사

정신장애를 바라보는 인간의 시선은 시대마다 크게 달랐습니다.

  • 고대사회에서는 정신장애를 초자연적 존재, 신의 분노, 악령의 저주로 여겼습니다. 치료는 기도, 의식, 주술 같은 종교적 방법에 의존했죠.
  • 그리스·로마시대가 되자 보다 의학적이고 자연적인 설명을 시도했습니다. 히포크라테스는 뇌 기능의 이상, 체액 불균형을 원인으로 보았습니다.
  • 중세에는 다시 미신과 종교적 믿음에 의존하며 마녀사냥 같은 비극이 벌어졌습니다.
  • 17~18세기 근대에는 인도주의적 치료의 개념이 등장합니다. 프랑스의 필리프 피넬은 정신병 환자에게 쇠사슬을 풀어주며 인간적 대우를 시작했죠.

 정신장애를 이해하는 방식은 시대, 문화, 과학의 발달에 따라 진화해 왔습니다.


이상행동과 정신장애는 어떻게 분류할까?

DSM-5-TR 진단체계의 활용

현대에 이르러 정신장애는 단순히 주관적 판단이 아니라, 과학적이고 표준화된 기준을 통해 진단됩니다.
APA(미국 정신의학회)에서 만든 정신질환 진단 기준 매뉴얼로 정신질환을 정확히 분류하고 진단하기 위해 DSM-5-TR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ition, Text Revision) 을 사용합니다.

장점

  • 의사, 심리사, 상담사 간 효과적 의사소통
  • 치료계획과 경과 관리의 표준화
  • 연구와 이론 개발의 기초 제공

단점

  • 개별적 차이, 문화적 맥락을 충분히 반영하기 어렵습니다.
  • 진단명이 낙인이나 고정관념을 심화시킬 위험이 있습니다.
  • 진단에 맞춘 치료가 지나치게 기계적일 수 있습니다.

종류

  • 범주적 분류: 증상의 유무로 진단 (예: 있다/없다)
  • 차원적 분류: 증상의 심각도와 특성을 연속선상에서 평가

DSM-5-TR 주요 하위유형과 대표 장애

DSM-5-TR은 다양한 정신장애를 분류해 이해를 돕습니다. 아래는 주요 하위유형과 그에 속하는 대표적 장애들입니다.

하위유형대표적 장애 예시
불안장애 범불안장애, 특정공포증, 사회불안장애, 공황장애, 광장공포증, 분리불안장애, 선택적 함구증
강박 및 관련 장애 강박장애, 신체이형장애, 수집광, 발모광(털뽑기장애), 피부뜯기장애
외상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 PTSD, 급성 스트레스장애, 적응장애, 반응성 애착장애, 탈억제 사회적 유대감 장애, 지속성 비탄장애
해리장애 해리성 정체감 장애, 해리성 기억상실, 이인증/비현실감 장애
신체증상 및 관련 장애 신체증상장애, 질병불안장애(건강염려증), 전환장애(기능성 신경학적 증상장애), 인위성 장애
 

이 분류는 정신장애에 대한 보다 세밀하고 과학적인 접근을 가능하게 하며, 각 장애별 치료법과 연구의 기반이 됩니다.

 

 

 

 

"이 글은 학습 및 참고용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실제 상황에 적용하기에는 전문가의 정확한 평가와 상담을 받으시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상담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담심리] 이상심리학#6  (0) 2025.07.16
[상담심리] 이상심리학#5  (3) 2025.07.14
[상담심리] 이상심리학 #4  (2) 2025.07.11
[상담심리]이상심리학 #3  (1) 2025.07.02
[상담심리] 이상심리학 #2  (2) 2025.06.29